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8

로마서 4:9-12 할례보다 앞선 믿음의 본질로마서 4장 9절부터 12절은 바울이 구원의 본질을 명확히 밝히는 대목입니다. 유대인들이 자랑하던 할례, 곧 언약의 표징이 구원에 필수적이라는 오랜 종교적 확신을 바울은 정면으로 도전합니다. 그는 아브라함의 예를 통해 구원은 형식 이전에 믿음이며, 외적인 표시가 아니라 내적인 신뢰가 하나님의 의를 가져온다는 복음의 본질을 선포합니다.아브라함의 의로움은 할례 이전이었다 (4:9-10)바울은 먼저 한 가지 도전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그런즉 이 복이 할례자에게냐 혹은 무할례자에게도냐”(4:9). 여기서 ‘이 복’이란 앞서 다윗이 시편 32편에서 말한 죄 사함의 복, 곧 “주께서 그 죄를 인정하지 아니하실 사람은 복이 있도다”라는 선언입니다. 유대인들은 자신들이 할례를 받았기 때문에 .. 2025. 3. 28.
로마서 4장 9-12절 할례보다 먼저 온 믿음의 의로마서 4장 9절부터 12절은 아브라함의 의로움이 언제 주어졌는지를 통해 복음의 본질을 다시금 강조하는 본문입니다. 유대인들이 자랑하던 한례, 곧 외적인 언약의 표식보다도 앞선 것이 믿음이며, 하나님은 그 믿음을 보시고 의롭다 하셨다는 진리를 선포합니다. 바울은 이 본문을 통해 유대인과 이방인의 장벽을 허물며,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는 하나님의 구원을 명확히 드러냅니다.아브라함의 의로움은 한례 이전에 주어졌다 (4:9-10)바울은 9절에서 이렇게 묻습니다. “그런즉 이 복이 할례자에게냐 혹은 무할례자에게도냐 우리가 말하기를 아브라함에게는 그 믿음이 의로 여겨졌다 하노라”(4:9). 이 '복'이란 무엇입니까? 바로 앞 구절에서 다윗이 말했던 것처럼, 죄가 사함 받고, 불법이 가려.. 2025. 3. 28.
로마서 4장 1-8절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은 아브라함로마서 4장은 바울이 구약 성경의 대표 인물 아브라함을 예로 들어, 복음의 핵심 진리를 설명하는 중요한 본문입니다. 그것은 바로 사람이 율법의 행위로가 아니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바울은 로마서 3장에서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 즉 율법 외에 나타난 하나님의 의를 설명했고, 이제 4장에서는 그 진리가 단지 신약의 새로운 교리가 아니라 구약에서도 이미 증거된 진리임을 밝힙니다.아브라함이 무엇을 얻었다고 하겠느냐 (4:1-3)바울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그런즉 육신으로 우리 조상인 아브라함이 무엇을 얻었다 하리요?" (4:1). 유대인에게 아브라함은 단지 조상의 의미를 넘어 믿음과 순종, 언약의 상징입니다. 그런 아브라함이 어떤 방식으로 하나님께 인정받.. 2025. 3. 28.
로마서 4장 구조 분석 로마서 4장 구조 분석 목록로마서 4장은 아브라함의 예를 중심으로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는다"는 바울의 주장을 구약에 근거하여 논증하는 매우 중요한 장입니다. 이 장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나눌 수 있습니다.1. 아브라함의 믿음과 칭의 (4:1-8)아브라함이 행위가 아닌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았다는 사실 강조 (4:1-3)창세기 15:6 인용: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그것이 그에게 의로 여겨졌느니라" (4:3)시편 32편 인용: 다윗도 죄를 사함받는 복을 말함 (4:6-8)2. 한례와 관계없는 의로움 (4:9-12)아브라함이 한례받기 전 이미 의롭다 하심을 받았음 (4:10)믿음이 한례보다 우선함을 증명 (4:9-11)아브라함은 한례자의 조상이면서도 믿음으로 사는 무한례자의 조상이 됨 (4:.. 2025. 3. 28.
로마서 3:19-31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심을 얻느니라로마서 3장 19절부터 31절까지는 바울이 복음을 가장 농밀하고 명확하게 설명하는 대목입니다. 앞선 모든 고발과 진단은 이 구절들을 위한 서론이었습니다. 이제 바울은 복음의 핵심, 즉 사람이 어떻게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 하심을 받을 수 있는지를 선포합니다. 율법과 행위가 아닌 오직 믿음, 그것도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의로움이 주어진다는 이 복음의 진수는 모든 신자에게 다시금 은혜 앞에 무릎 꿇게 만듭니다.율법은 죄를 깨닫게 할 뿐, 의롭다 하지 못한다“우리가 알거니와 무릇 율법이 말하는 바는 율법 아래에 있는 자들에게 말하는 것이니 이는 모든 입을 막고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에 있게 하려 함이라”(3:19). 바울은 율법이 궁극적으로 무엇.. 2025. 3. 28.
로마서 3:9-18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도다로마서 3장 9절부터 18절까지는 인류 전체에 대한 하나님의 진단과 같습니다. 바울은 유대인이나 헬라인 모두 죄 아래 있다는 선언을 시작으로, 구약 성경의 다양한 구절을 인용하여 인간의 본성과 현실을 정면으로 보여줍니다. 이 말씀은 인간의 본질적 부패를 부정하지 않고 직면하게 하며, 오직 하나님의 은혜만이 소망임을 고백하게 만듭니다.모든 사람이 죄 아래 있다바울은 이렇게 선언합니다. “그러면 어떠하냐 우리는 나으냐 결코 아니라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다 죄 아래 있다고 우리가 이미 선언하였느니라”(3:9). 여기서 '죄 아래 있다'는 표현은 단순히 죄를 지었다는 정도의 의미를 넘어서, 죄의 권세 아래 놓여 있다는 영적 상태를 의미합니다. 헬라어로 '죄 아래 있다'는 말은 ‘후포 .. 2025.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