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성경/신약로마서

로마서 6장 구조 분석

BibleMeditation 2025. 4. 1. 11:21
반응형

 

로마서 6장 구조 분석

1. 서론: 잘못된 질문 제기 (6:1–2)

  • “은혜를 더하게 하려고 죄에 거하겠느냐?”(6:1)
    바울은 은혜를 오해한 질문에 대해 “그럴 수 없느니라”(6:2)고 단호히 응답합니다.
  • 이유: 우리는 죄에 대해 죽은 자이며 더 이상 그것 가운데 살 수 없음(6:2).

2. 세례와 그리스도와의 연합 (6:3–11)

  • 세례를 통해 우리는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합하여 죽었고, 부활과 함께 새 생명 가운데 살아가야 함(6:3–4).
  • 옛 사람이 십자가에 못 박힘(6:6) → 죄의 몸이 멸하여 다시는 죄에게 종노릇하지 않게 됨.
  • “하나님께 대하여는 살아 있는 자로 여길지어다”(6:11) – 신자의 정체성 선언.

3. 죄에 대한 태도: 헌신의 실천 (6:12–14)

  • “죄로 너희 죽을 몸에 왕노릇 하지 못하게 하라”(6:12) – 명령적 권면.
  • 지체를 불의의 병기로 죄에게 내주지 말고, 의의 병기로 하나님께 드리라(6:13).
  • “너희가 율법 아래 있지 아니하고 은혜 아래 있다”(6:14) – 해방의 이유 제시.

4. 두 주인의 비유: 죄의 종 vs. 의의 종 (6:15–23)

  • “죄를 지으리요?”(6:15) – 다시 제기된 질문에 “그럴 수 없느니라”는 동일한 부정적 응답.
  • 누구에게 순종하든지 그 종이 됨(6:16) – 순종의 중요성 강조.
  • “죄로부터 해방되어 의에게 종이 되었느니라”(6:18) – 신자의 변화된 신분.
  • 결과의 대조:
    • 죄의 종 → 사망 (6:21)
    • 의의 종 → 거룩함과 영생 (6:22)
  • 결론의 요절: “죄의 삯은 사망이요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 있는 영생이니라” (6:23)

 

반응형